한국헌법에 대해 일반인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
정치·경제·문화의 영역이 국가와 국민의 성장·발전을 위하여 작용할 수 있도록 규범적 역할과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헌법이라 할 수 있다. 오늘날 헌법은 헌법이 국가생활에 나타나기 시작할 때의 정치적 제도규범으로서의 성격이외에, 정치인이나 경제인이나 문화인들만이 아닌 전체국민의 생활과 삶의 질을 제고하기 위한 생활규범이며 행위규범으로서의 성격이 강조되면서 헌법규범과 헌법현실에 대한 이해가 현대인에게는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만큼 이에 대한 일반인들의 이해를 돕도록 자세하게 서술되어져 있다.
다양한 판례와 최근 일어난 내용들을 보완
헌법의 기초이론, 한국헌법의 약사, 1987년 헌법의 기본구조와 원리, 1987년 헌법의 정치제도, 기본권의 이론과 실제 등 다섯 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정 4판에서는 그동안 미완의 상태에 있었던 부분에 관하여 대폭적인 보완을 하였다. 대표적인 부분으로는 국기긴급권의 발동요건, 민주주의의 기본 유형으로서의 참여민주주의, 제8차 헌법개정의 경과, 국민주권 원리의 간접민주제에 의한 구현, 2009년 북한 개정헌법, 우라나라에서 다양한 관점에서 이론적으로 모색하고 있는 이원정부제의 도입필요성, 기본권 보장의 연혁과 현대적 전개, 기본권의 제한 등에 관한 내용이다.
판례와 내용에 있어서의 보완 뿐만아니라 체제와 형식에 있어서도 수정을 하였다. 제4장 1987년 헌법의 정치제도 중에서 정부와 사법부에 관한 체제를 수정하였다. 수정의 방향은 현행 헌법전의 장절 순서와 동일하게 하고자 한 것이었으며, 대법원의 헌법상 지위를 독립적으로 고찰해 보고자 함이었다. 정치제도에 관한 일부 체제의 변경에 따라 국가기관에 관한 도표나 자료도 현재를 기준으로 하여 재구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