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인문

방언과 중국문화

지은이유여걸 주진학 역자 : 전광진 이연주

출판일2005-05-30

쪽 수416면

판 형신국판

I S B N89-7581-256-1 03820

판매가18,000원

구매수량

책소개

* 방언을 통해서 본 중국의 역사와 문화사

최근 중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국내에 중국어 관련 연구서적들이 상당수 출판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중국어 표준어를 다룬 저작들로 현재 중국어 방언을 다룬 책은 전무한 실정이다. 그러나 우리가 중국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표준어뿐 아니라 중국어의 다양한 형태인 방언을 이해해야지만 중국의 각 지역을 두루 이해한다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중국의 방언을 다룬 저서 가운데 가장 널리 읽히는 책으로, 학제간 연구를 통해 전문적이면서도 매우 흥미롭게 중국어 방언과 중국의 역사, 문화사를 다루고 있다. 학제간 연구서라는 측면에서 뿐 아니라 방언학이나 문화사 측면에서도 반드시 읽어야 할 필독서라고 생각된다.

* 중국어 방언학은 물론 중국 문화사에 있어서 하나의 새로운 연구방향을 제시

저자는 방언과 중국 문화사의 연구를 결합시켜서 방언의 형성과 발전에 관련된 문화적 배경을 탐색하는 동시에 문화사에 관한 일부 과제들을 방언이라는 열쇠로 풀어보려고 시도하였다. 문화의 교류와 더불어 발생한 언어의 접촉이 중국어에 미친 영향과 중국어가 다른 언어 혹은 다른 문화에 미친 영향들을 사회문화사적 측면에서 해석하여 중국어 방언학은 물론 중국 문화사에 있어서도 하나의 새로운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고 할 수 있다.

* 중국어 방언학의 문제를 문화사 측면에서 적극 조명

중국어 방언학은 기본적으로 언어학 이외의 다른 인문 과학과 연계를 맺지 못했기 때문에 연구 대상이 줄곧 방언 그 자체에만 국한되어 왔다. 마찬가지로 문화사에 대한 연구 또한 언어 문제와 잘 연계시키지 못하였다.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은 중국어 방언학의 문제를 문화사 측면에서 조명하였다는 것이다

 

차례

서론
제1절 언어와 문화의 관계
제2절 방언과 언어의 관계
제3절 현대 중국의 언어와 방언
제4절 중국어 방언 분화의 역사적 배경
제5절 중국어 방언 연구사 개요

제1장 방언과 이민의 관계
제1절 이민의 특징과 방언의 변화 관계
제2절 이민 방식과 방언의 지리적 분포 유형
제3절 이민과 방언의 연원(淵源) 및 방언 지리의 형세
제4절 방언학과 이민사 연구
제5절 방언의 역사적 계층과 이민의 역사적 계층

제2장 방언 지리와 인문 지리
제1절 현대의 방언 구획과 역사 행정 지리
제2절 중국어 방언구분에 있어서의 역사 행정지리 분석법
제3절 권위 방언과 행정 중심지역 변경과의 관계
제4절 방언 지리와 교통 지리
제5절 방언 지리와 도시 지리 및 상업 지리

제3장 역대 방언 지리의 추정 및 그 문화적 배경
제1절 ≪시경≫ 시대 언어 구역의 추정
제2절 양한 시대 방언 구획의 추정
제3절 서진 시대 방언 구획의 추정
제4절 송대와 금대의 방언 구획 추정
제5절 명·청 시대 상해 지역의 방언 지리

제4장 언어 화석과 재배식물의 발전사
제1절 벼 재배의 역사와 전래
제2절 보리, 옥수수, 감자, 고구마
제3절 완두콩/잠두콩
제4절 유자와 올방개
제5절 얼룩조릿대와 주악, 사탕수수와 사탕
제6절 차, 고추, 그리고 기타

제5장 지명으로 본 문화 내적 함의
제1절 지명과 역사 문화의 경관
제2절 지명과 이민
제3절 지명과 경제사
제4절 지명 및 역사 교통 지리
제5절 지명과 민족사
제6절 지명과 역사 민족 지리
제7절 지명의 계층과 문화의 계층

제6장 방언과 희곡 및 소설
제1절 방언과 희곡 연구
제2절 방언과 소설

제7장 방언과 민속
제1절 방언과 민요연구
제2절 방언과 지방 문화의 풍격

제8장 언어 접촉과 문화 교류
제1절 기층어휘와 기층문화
제2절 외래문화와 중국어의 외래어
제3절 차용어와 중국 문화의 서구 전파
제4절 역외 방언과 중국 문화의 대외 전파

 

책속으로

문화사를 연구할 때 사람들은 흔히 문화 그 자체의 발전 양상에만 관심을 둘 뿐, 그 문화를 창조한 사람이나 그러한 사람들의 이주 및 이주와 문화 발전과의 관계에 대하여는 소홀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각기 다른 유형의 문화들이 상호 격리 상태로부터 침투와 융화의 상태로 접어드는 가장 중요한 원인 가운데 하나는 바로 인구의 이동, 즉 이민(移民)에서 기인한다. 이민은 문화의 전파를 이루기도 하고, 또한 각기 다른 지역의 문화들을 교류시키거나 새로운 문화를 탄생시켜서 문화의 발전을 촉진시키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이민사가 문화사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다. 인구의 이동은 문화 발전을 촉진시킴과 동시에 언어에도 매우 큰 변화를 일으킨다.

방언은 언어가 점진적으로 분화된 결과이며, 언어의 분화는 종종 이민으로부터 시작된다. 방언의 형성이 이민과 유관한 것은 적어도 다음의 두 가지 기본적인 상황을 배경으로 한다. 하나는, 동일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두 집단으로 나뉘어 각각 다른 지역으로 이주했을 때, 그들의 언어가 저마다 다른 조건 하에서 변화 발전을 거치면서 결국 각기 다른 두 가지 방언으로 분화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갑 지역의 방언을 사용하는 사람들 가운데 일부가 어느 시기에 을 지역으로 이주하여 오랜 세월이 지나면 원래 동일한 방언을 사용하던 갑 지역과 을 지역이 결국에는 서로 다른 두 종류의 방언으로 분화되는 것이다.

또 어떤 방언은 그것이 형성된 역사가 비교적 특수한 경우가 있는데, 이를테면 민(閩) 방언의 주요 연원(淵源)은 마땅히 동한(東漢) 말에서 삼국(三國) 시기의 오(吳) 방언이었을 것으로 보이며, 이는 복건 지역의 한족(漢族)들이 주로 이 시기에 절강 일대에서 그곳으로 이주해 갔기 때문이다. 그들이 가지고 들어간 당시의 오 방언이 그곳의 민월족(閩越族) 언어와 융화(融和)를 거치면서 점차로 오늘날의 오 방언과는 크게 다른 민 방언을 형성시켰을 것이다.

그러므로 분명한 사실은 이민사가 방언 형성의 여러 요인들 가운데 일부를 해석하는데 활용될 수 있으며, 반대로 방언 현상 또한 이민사의 증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그 둘의 관계가 매우 밀접하다는 것이다. 추상적인 말이기는 하지만, 이 둘 사이는 함수 관계와 비슷한 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이민 형식의 변화는 방언 유형의 변화를 불러일으킨다고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방언과 이민의 관계는 다음 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될 수 있다. 하나는 이민의 특징과 방언의 변화 관계이고, 다른 하나는 이민 방식과 방언의 지리학적 분포 유형의 관계이다

 

저자소개

游汝杰(유여걸, 1941.8 - )
復旦大學(중국 상해) 중문과 교수. 현대중국어연구, 중국어방언학, 한장어개요 등에 관한 연구 및 강의 담당. 국제중국언어학회 이사 역임. 현재 중국언어학회 이사. 중국사회언어학회 이사. ≪方言與中國文化≫(공저), ≪漢語方言學導論≫, ≪社會語言學敎程≫, ≪中國文化語言引論≫ 등 10종 저작과 30 여 편의 전문 학술 논문을 발표한 바 있음.

周振鶴(주진학, 1941- )
復旦大學(중국 상해) 중국역사지리학과 대학원 교수. 중국역사지리학, 지방행정제도사, 문화언어학, 언어접촉, 해외교류사, 등에 관한 연구 및 강의. 현재 중국행정구획연구회 이사, 중국 지리학회 역사지리 전문위원회 위원. ≪西漢行政地理≫, ≪中國文化通志*地方行政制度志≫, ≪方言與中國文化≫(공저), ≪中國歷史文化區域硏究≫ 등 10여 종 저작과 100여 편의 전문 학술 논문을 발표한 바 있음.

역자약력

전광진(全廣鎭, 1955.3 - )
성균관대학교 중문과 졸. 국립대만사범대학 중문과 문학석사. 국립대만대학 중문과 문학박사. 경희대학교 중문과 조교수, 부교수 역임. 현재 성균관대학교 중문과 교수, 동 대학 인문과학연구소 소장. 조선일보 <생활한자> 칼럼 집필(1999.3.2 - 현재). ≪漢藏語同源詞綜論≫, ≪兩周金文通假字硏究≫(이상 中文著作), ≪중국언어학총론≫(역주), ≪중국문자훈고학사전≫(역주), ≪뿌리를 찾는 한자≫, ≪대학생을 위한 교양 한자≫ 등의 책을 저술 또는 번역하였으며, 중국언어학 및 중국문자학(漢字學) 분야의 전문 연구 논문이 20여 편 있음.

이연주(李姸周, 1963- )
국립대만사범대학 중문과 졸. 국립대만대학 중문과 문학석사, 문학박사. 현재 강원대학교 중문과 부교수. 상고중국어의 동원어휘에 나타난 음운현상, 언어접촉에 의한 중국어 차용어, 중국소수민족언어 등에 대해 연구

 

서평

책소개

* 방언을 통해서 본 중국의 역사와 문화사

최근 중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국내에 중국어 관련 연구서적들이 상당수 출판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중국어 표준어를 다룬 저작들로 현재 중국어 방언을 다룬 책은 전무한 실정이다. 그러나 우리가 중국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표준어뿐 아니라 중국어의 다양한 형태인 방언을 이해해야지만 중국의 각 지역을 두루 이해한다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중국의 방언을 다룬 저서 가운데 가장 널리 읽히는 책으로, 학제간 연구를 통해 전문적이면서도 매우 흥미롭게 중국어 방언과 중국의 역사, 문화사를 다루고 있다. 학제간 연구서라는 측면에서 뿐 아니라 방언학이나 문화사 측면에서도 반드시 읽어야 할 필독서라고 생각된다.

* 중국어 방언학은 물론 중국 문화사에 있어서 하나의 새로운 연구방향을 제시

저자는 방언과 중국 문화사의 연구를 결합시켜서 방언의 형성과 발전에 관련된 문화적 배경을 탐색하는 동시에 문화사에 관한 일부 과제들을 방언이라는 열쇠로 풀어보려고 시도하였다. 문화의 교류와 더불어 발생한 언어의 접촉이 중국어에 미친 영향과 중국어가 다른 언어 혹은 다른 문화에 미친 영향들을 사회문화사적 측면에서 해석하여 중국어 방언학은 물론 중국 문화사에 있어서도 하나의 새로운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고 할 수 있다.

* 중국어 방언학의 문제를 문화사 측면에서 적극 조명

중국어 방언학은 기본적으로 언어학 이외의 다른 인문 과학과 연계를 맺지 못했기 때문에 연구 대상이 줄곧 방언 그 자체에만 국한되어 왔다. 마찬가지로 문화사에 대한 연구 또한 언어 문제와 잘 연계시키지 못하였다.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은 중국어 방언학의 문제를 문화사 측면에서 조명하였다는 것이다

 

차례

서론
제1절 언어와 문화의 관계
제2절 방언과 언어의 관계
제3절 현대 중국의 언어와 방언
제4절 중국어 방언 분화의 역사적 배경
제5절 중국어 방언 연구사 개요

제1장 방언과 이민의 관계
제1절 이민의 특징과 방언의 변화 관계
제2절 이민 방식과 방언의 지리적 분포 유형
제3절 이민과 방언의 연원(淵源) 및 방언 지리의 형세
제4절 방언학과 이민사 연구
제5절 방언의 역사적 계층과 이민의 역사적 계층

제2장 방언 지리와 인문 지리
제1절 현대의 방언 구획과 역사 행정 지리
제2절 중국어 방언구분에 있어서의 역사 행정지리 분석법
제3절 권위 방언과 행정 중심지역 변경과의 관계
제4절 방언 지리와 교통 지리
제5절 방언 지리와 도시 지리 및 상업 지리

제3장 역대 방언 지리의 추정 및 그 문화적 배경
제1절 ≪시경≫ 시대 언어 구역의 추정
제2절 양한 시대 방언 구획의 추정
제3절 서진 시대 방언 구획의 추정
제4절 송대와 금대의 방언 구획 추정
제5절 명·청 시대 상해 지역의 방언 지리

제4장 언어 화석과 재배식물의 발전사
제1절 벼 재배의 역사와 전래
제2절 보리, 옥수수, 감자, 고구마
제3절 완두콩/잠두콩
제4절 유자와 올방개
제5절 얼룩조릿대와 주악, 사탕수수와 사탕
제6절 차, 고추, 그리고 기타

제5장 지명으로 본 문화 내적 함의
제1절 지명과 역사 문화의 경관
제2절 지명과 이민
제3절 지명과 경제사
제4절 지명 및 역사 교통 지리
제5절 지명과 민족사
제6절 지명과 역사 민족 지리
제7절 지명의 계층과 문화의 계층

제6장 방언과 희곡 및 소설
제1절 방언과 희곡 연구
제2절 방언과 소설

제7장 방언과 민속
제1절 방언과 민요연구
제2절 방언과 지방 문화의 풍격

제8장 언어 접촉과 문화 교류
제1절 기층어휘와 기층문화
제2절 외래문화와 중국어의 외래어
제3절 차용어와 중국 문화의 서구 전파
제4절 역외 방언과 중국 문화의 대외 전파

 

책속으로

문화사를 연구할 때 사람들은 흔히 문화 그 자체의 발전 양상에만 관심을 둘 뿐, 그 문화를 창조한 사람이나 그러한 사람들의 이주 및 이주와 문화 발전과의 관계에 대하여는 소홀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각기 다른 유형의 문화들이 상호 격리 상태로부터 침투와 융화의 상태로 접어드는 가장 중요한 원인 가운데 하나는 바로 인구의 이동, 즉 이민(移民)에서 기인한다. 이민은 문화의 전파를 이루기도 하고, 또한 각기 다른 지역의 문화들을 교류시키거나 새로운 문화를 탄생시켜서 문화의 발전을 촉진시키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이민사가 문화사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다. 인구의 이동은 문화 발전을 촉진시킴과 동시에 언어에도 매우 큰 변화를 일으킨다.

방언은 언어가 점진적으로 분화된 결과이며, 언어의 분화는 종종 이민으로부터 시작된다. 방언의 형성이 이민과 유관한 것은 적어도 다음의 두 가지 기본적인 상황을 배경으로 한다. 하나는, 동일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두 집단으로 나뉘어 각각 다른 지역으로 이주했을 때, 그들의 언어가 저마다 다른 조건 하에서 변화 발전을 거치면서 결국 각기 다른 두 가지 방언으로 분화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갑 지역의 방언을 사용하는 사람들 가운데 일부가 어느 시기에 을 지역으로 이주하여 오랜 세월이 지나면 원래 동일한 방언을 사용하던 갑 지역과 을 지역이 결국에는 서로 다른 두 종류의 방언으로 분화되는 것이다.

또 어떤 방언은 그것이 형성된 역사가 비교적 특수한 경우가 있는데, 이를테면 민(&#38313;) 방언의 주요 연원(淵源)은 마땅히 동한(東漢) 말에서 삼국(三國) 시기의 오(吳) 방언이었을 것으로 보이며, 이는 복건 지역의 한족(漢族)들이 주로 이 시기에 절강 일대에서 그곳으로 이주해 갔기 때문이다. 그들이 가지고 들어간 당시의 오 방언이 그곳의 민월족(&#38313;越族) 언어와 융화(融和)를 거치면서 점차로 오늘날의 오 방언과는 크게 다른 민 방언을 형성시켰을 것이다.

그러므로 분명한 사실은 이민사가 방언 형성의 여러 요인들 가운데 일부를 해석하는데 활용될 수 있으며, 반대로 방언 현상 또한 이민사의 증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그 둘의 관계가 매우 밀접하다는 것이다. 추상적인 말이기는 하지만, 이 둘 사이는 함수 관계와 비슷한 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이민 형식의 변화는 방언 유형의 변화를 불러일으킨다고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방언과 이민의 관계는 다음 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될 수 있다. 하나는 이민의 특징과 방언의 변화 관계이고, 다른 하나는 이민 방식과 방언의 지리학적 분포 유형의 관계이다

 

저자소개

游汝杰(유여걸, 1941.8 - )
復旦大學(중국 상해) 중문과 교수. 현대중국어연구, 중국어방언학, 한장어개요 등에 관한 연구 및 강의 담당. 국제중국언어학회 이사 역임. 현재 중국언어학회 이사. 중국사회언어학회 이사. ≪方言與中國文化≫(공저), ≪漢語方言學導論≫, ≪社會語言學敎程≫, ≪中國文化語言引論≫ 등 10종 저작과 30 여 편의 전문 학술 논문을 발표한 바 있음.

周振鶴(주진학, 1941- )
復旦大學(중국 상해) 중국역사지리학과 대학원 교수. 중국역사지리학, 지방행정제도사, 문화언어학, 언어접촉, 해외교류사, 등에 관한 연구 및 강의. 현재 중국행정구획연구회 이사, 중국 지리학회 역사지리 전문위원회 위원. ≪西漢行政地理≫, ≪中國文化通志*地方行政制度志≫, ≪方言與中國文化≫(공저), ≪中國歷史文化區域硏究≫ 등 10여 종 저작과 100여 편의 전문 학술 논문을 발표한 바 있음.

역자약력

전광진(全廣鎭, 1955.3 - )
성균관대학교 중문과 졸. 국립대만사범대학 중문과 문학석사. 국립대만대학 중문과 문학박사. 경희대학교 중문과 조교수, 부교수 역임. 현재 성균관대학교 중문과 교수, 동 대학 인문과학연구소 소장. 조선일보 <생활한자> 칼럼 집필(1999.3.2 - 현재). ≪漢藏語同源詞綜論≫, ≪兩周金文通假字硏究≫(이상 中文著作), ≪중국언어학총론≫(역주), ≪중국문자훈고학사전≫(역주), ≪뿌리를 찾는 한자≫, ≪대학생을 위한 교양 한자≫ 등의 책을 저술 또는 번역하였으며, 중국언어학 및 중국문자학(漢字學) 분야의 전문 연구 논문이 20여 편 있음.

이연주(李姸周, 1963- )
국립대만사범대학 중문과 졸. 국립대만대학 중문과 문학석사, 문학박사. 현재 강원대학교 중문과 부교수. 상고중국어의 동원어휘에 나타난 음운현상, 언어접촉에 의한 중국어 차용어, 중국소수민족언어 등에 대해 연구

 

서평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