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사회

우리시대의 정치

지은이우철구 외 6인 공저

출판일2003-09-01

쪽 수290면

판 형신국판

I S B N89-7581-150-6 03340

판매가13,000원

구매수량

책소개

이 책은 총 7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에서는 오늘날 세계사회에 작동하는 지배적인 사상인 자유주의를 소개하고 있다. 먼저 자유주의를 오늘날까지 이어지게 한 모멘텀으로서 근대 시민혁명과 자유주의 이론의 정초자로서 로크의 논의를 살펴봄으로써 자유주의의 기원을 설명하고, 근대 자유주의의 구성요소를 열거하였다. 다음으로 자유주의 이론이 전개되는 역사적 과정을 서술하였다.

제2장은 민주주의와 정치문화의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다. 먼저 민주주의의 올바른 작동과 정치문화 사이의 밀접한 관계를 고찰하면서 민주적 정치문화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정치문화의 개념과 정치문화가 다루고 있는 주요 쟁점을 정리하면서 민주적 정치문화에 필요한 개인의 자질을 소개하고 있다. 특히 정치문화를 논함에 있어서 중요한 개념인 정치사회화의 의미와 매체를 검토하는 동시에 민주적 정치문화로의 정치사회화를 위한 몇 가지 방안을 소개하였다.

제3장에서는 한국의 정치과정에서 점증하는 정당정치의 중요성을 논의하고 있다. 이 장에서 특별히 관심을 가지는 문제는 정당정치와 사회계급의 연관성을 밝히는 것이다. 즉 정당정치의 계급적 성격 혹은 본질을 밝히려는 것이다.

제4장에서는 정치적 제도, 그 중에서도 특히 선거를 포함한 투표의 방법과 절차의 중요성을 환기시키고 있다. 먼저 선호, 제도적 규칙과 절차, 투표행태 등 투표결과를 결정하는 3가지 기본적 요소를 설명하고, 투표공간이론의 여러 결과를 간략히 소개하였다.

제5장에서는 중국정치에서 인민해방군의 정치적 역할의 변화를 살펴보고 있다. 특히 중국군의 현대화 작업이 인민해방군의 정치적 역할에 미친 영향을 집중적으로 논의하였다. 먼저 공산 혁명기에 형성된 ‘당·군일체’ 내지 ‘당의 군대’라는 정치문화적인 기본 골격의 특징을 설명하면서, 이러한 당의 군대라는 기존의 정치문화가 모택동 사후의 이루어진 등소평과 강택민의 군 현대화 과정에서 어떠한 변화를 겪었는지에 분석하였다.

제6장에서는 국제관계에서 문화의 중요성을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다. 우선 문화의 중요성을 국제관계의 기본을 형성하는 국가 또는 지역공동체의 정체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그리고 한 국가의 사회제도와 정치제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국제관계에서 문화적인 힘이 민족주의에 미치는 영향과 종교가 국제관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세계화라는 대세 속에서 다문화주의(multiculturalism)의 의미를 새롭게 고찰하였다.

제7장에서는 우리의 일상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세계화 현상과 국민국가의 관계에 대한 논의를 검토하고 있다. 특히 세계화에 의해 국민국가가 약화되는지 여부에 대한 논쟁에 초점을 두고 있다. 먼저 최근의 세계화 현상을 추동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포드주의 생산방식에서 유연생산방식으로의 변화와 이러한 변화에 따른 기업의 지배구조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또한 세계화 현상이 국민국가를 약화시키는지의 여부에 대한 논쟁을 자본에 대한 국가의 상대적 힘의 약화를 주장하는 ‘국민국가 쇠퇴론’과 자본에 대해 국가가 여전히 규제력을 발휘한다고 주장하는 ‘국민국가 건재론’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차례

제1장 우리 시대의 자유주의
I. 들어가는 말
II. 자유주의의 기원
III. 자유주의의 전개
IV.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자유주의
V. 나오는 말

제2장 민주주의와 정치문화
Ⅰ. 정치문화의 개념과 내용
II. 민주적 정치문화
III. 정치문화와 정치사회화
IV. 한국의 정치문화
Ⅴ. 이데올로기와 정치문화
Ⅵ. 결론을 대신해서

제3장 정당이란 무엇인가?
Ⅰ. 머리말
Ⅱ. 정당정치와 사회계급
Ⅲ. 정당정치 연구의 문제영역
Ⅳ. 정당정치를 설명하는 몇 가지 변수
Ⅴ. 맺는말

제4장 제도의 정치적 효과
Ⅰ. 투표방법의 다양성과 그 효과
Ⅱ. 선거제도의 의의와 그 선택의 기준
Ⅲ. 선거제도의 변화와 그 정치적 효과
Ⅳ. 결론: 선거제도의 개선 방향

제5장 모택동 사후 중국 군대현대화와 정치적 역할
Ⅰ. 문제의 제기
Ⅱ. 군과 政治文化
Ⅲ. 鄧小平 시대의 군 현대화
Ⅳ. 江澤民의 등장과 군의 정치적 역할변화
Ⅴ. 군의 이해관계와 정치적 역할
Ⅵ. 결론

제6장 국제관계와 문화
Ⅰ. 국제관계와 문화
Ⅱ. 문화와 정체성
Ⅲ. 문화와 제도
Ⅳ. 민족주의와 문화
Ⅴ. 종교와 민족주의
Ⅵ. 종교와 국제관계
Ⅶ. 종교적 행위자와 전략
Ⅷ. 세계화와 다문화주의(multiculturalism)
Ⅸ. 헌팅턴의 문명충돌론
Ⅹ. 유교와 이슬람의 연계에 관한 주장
ⅩⅠ. 문명충돌론에 대한 비판

제7장 세계화와 국민국가
I. 들어가는 말
II. 세계화의 동인
III. 국민국가 쇠퇴론
IV. 국민국가 건재론
V. 나오는 말


<저자>
우철구
영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파리 1대학교 역사학 박사

이문조
영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플로리다주립대학교 정치학 박사

김영문
영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캘리포니아대(리버사이드) 정치학 박사

김태일
영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고려대학교 정치학 박사

정달현
영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영남대학교 정치학 박사

정준표
영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로체스터대학교 정치학 박사

김학노
영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조교수
위스콘신대학교 정치학 박사

 

 

책속으로

 

 

저자소개

 

 

서평

책소개

이 책은 총 7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에서는 오늘날 세계사회에 작동하는 지배적인 사상인 자유주의를 소개하고 있다. 먼저 자유주의를 오늘날까지 이어지게 한 모멘텀으로서 근대 시민혁명과 자유주의 이론의 정초자로서 로크의 논의를 살펴봄으로써 자유주의의 기원을 설명하고, 근대 자유주의의 구성요소를 열거하였다. 다음으로 자유주의 이론이 전개되는 역사적 과정을 서술하였다.

제2장은 민주주의와 정치문화의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다. 먼저 민주주의의 올바른 작동과 정치문화 사이의 밀접한 관계를 고찰하면서 민주적 정치문화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정치문화의 개념과 정치문화가 다루고 있는 주요 쟁점을 정리하면서 민주적 정치문화에 필요한 개인의 자질을 소개하고 있다. 특히 정치문화를 논함에 있어서 중요한 개념인 정치사회화의 의미와 매체를 검토하는 동시에 민주적 정치문화로의 정치사회화를 위한 몇 가지 방안을 소개하였다.

제3장에서는 한국의 정치과정에서 점증하는 정당정치의 중요성을 논의하고 있다. 이 장에서 특별히 관심을 가지는 문제는 정당정치와 사회계급의 연관성을 밝히는 것이다. 즉 정당정치의 계급적 성격 혹은 본질을 밝히려는 것이다.

제4장에서는 정치적 제도, 그 중에서도 특히 선거를 포함한 투표의 방법과 절차의 중요성을 환기시키고 있다. 먼저 선호, 제도적 규칙과 절차, 투표행태 등 투표결과를 결정하는 3가지 기본적 요소를 설명하고, 투표공간이론의 여러 결과를 간략히 소개하였다.

제5장에서는 중국정치에서 인민해방군의 정치적 역할의 변화를 살펴보고 있다. 특히 중국군의 현대화 작업이 인민해방군의 정치적 역할에 미친 영향을 집중적으로 논의하였다. 먼저 공산 혁명기에 형성된 ‘당·군일체’ 내지 ‘당의 군대’라는 정치문화적인 기본 골격의 특징을 설명하면서, 이러한 당의 군대라는 기존의 정치문화가 모택동 사후의 이루어진 등소평과 강택민의 군 현대화 과정에서 어떠한 변화를 겪었는지에 분석하였다.

제6장에서는 국제관계에서 문화의 중요성을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다. 우선 문화의 중요성을 국제관계의 기본을 형성하는 국가 또는 지역공동체의 정체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그리고 한 국가의 사회제도와 정치제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국제관계에서 문화적인 힘이 민족주의에 미치는 영향과 종교가 국제관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세계화라는 대세 속에서 다문화주의(multiculturalism)의 의미를 새롭게 고찰하였다.

제7장에서는 우리의 일상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세계화 현상과 국민국가의 관계에 대한 논의를 검토하고 있다. 특히 세계화에 의해 국민국가가 약화되는지 여부에 대한 논쟁에 초점을 두고 있다. 먼저 최근의 세계화 현상을 추동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포드주의 생산방식에서 유연생산방식으로의 변화와 이러한 변화에 따른 기업의 지배구조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또한 세계화 현상이 국민국가를 약화시키는지의 여부에 대한 논쟁을 자본에 대한 국가의 상대적 힘의 약화를 주장하는 ‘국민국가 쇠퇴론’과 자본에 대해 국가가 여전히 규제력을 발휘한다고 주장하는 ‘국민국가 건재론’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차례

제1장 우리 시대의 자유주의
I. 들어가는 말
II. 자유주의의 기원
III. 자유주의의 전개
IV.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자유주의
V. 나오는 말

제2장 민주주의와 정치문화
Ⅰ. 정치문화의 개념과 내용
II. 민주적 정치문화
III. 정치문화와 정치사회화
IV. 한국의 정치문화
Ⅴ. 이데올로기와 정치문화
Ⅵ. 결론을 대신해서

제3장 정당이란 무엇인가?
Ⅰ. 머리말
Ⅱ. 정당정치와 사회계급
Ⅲ. 정당정치 연구의 문제영역
Ⅳ. 정당정치를 설명하는 몇 가지 변수
Ⅴ. 맺는말

제4장 제도의 정치적 효과
Ⅰ. 투표방법의 다양성과 그 효과
Ⅱ. 선거제도의 의의와 그 선택의 기준
Ⅲ. 선거제도의 변화와 그 정치적 효과
Ⅳ. 결론: 선거제도의 개선 방향

제5장 모택동 사후 중국 군대현대화와 정치적 역할
Ⅰ. 문제의 제기
Ⅱ. 군과 政治文化
Ⅲ. 鄧小平 시대의 군 현대화
Ⅳ. 江澤民의 등장과 군의 정치적 역할변화
Ⅴ. 군의 이해관계와 정치적 역할
Ⅵ. 결론

제6장 국제관계와 문화
Ⅰ. 국제관계와 문화
Ⅱ. 문화와 정체성
Ⅲ. 문화와 제도
Ⅳ. 민족주의와 문화
Ⅴ. 종교와 민족주의
Ⅵ. 종교와 국제관계
Ⅶ. 종교적 행위자와 전략
Ⅷ. 세계화와 다문화주의(multiculturalism)
Ⅸ. 헌팅턴의 문명충돌론
Ⅹ. 유교와 이슬람의 연계에 관한 주장
ⅩⅠ. 문명충돌론에 대한 비판

제7장 세계화와 국민국가
I. 들어가는 말
II. 세계화의 동인
III. 국민국가 쇠퇴론
IV. 국민국가 건재론
V. 나오는 말


<저자>
우철구
영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파리 1대학교 역사학 박사

이문조
영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플로리다주립대학교 정치학 박사

김영문
영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캘리포니아대(리버사이드) 정치학 박사

김태일
영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고려대학교 정치학 박사

정달현
영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영남대학교 정치학 박사

정준표
영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로체스터대학교 정치학 박사

김학노
영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조교수
위스콘신대학교 정치학 박사

 

 

책속으로

 

 

저자소개

 

 

서평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