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기도의 근원과 정체성 확립, 성립과정과 수행의 실제를 체계적으로 정립하고자 노력
합기도는 전통무도의 본질적 요소인 지속성, 고유성, 대중성, 현재성 등에 부합됨은 물론 종합무도의 성격이 강하고 수행분야가 다양하며, 상대를 제압함에 있어 독자적인 특성이 존재하는 무도이다. 이 책은 합기도에 대한 깊이 있는 학문적 접근이 미흡한 현시점에서 합기도의 역사・철학・수행을 총괄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저자들은 합기도의 근원과 정체성을 확립하는 동시에 합기도의 성립과정 및 수행의 실제를 체계적으로 정립하고자 노력하였다. 따라서 합기도에 대한 올바른 역사의식과 가치관 및 본질을 이해하는데 있어 중요한 단서가 되며, 합기도가 지닌 난제인 스포츠화와 무도성의 조화 문제를 해결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합기도의 이론과 실제에 대한 균형 있는 접근은 합기도의 학문화에 중추적인 역할을 함
지금까지의 출판된 합기도 관련 출판물들은 합기도의 대중화에 비해 양적, 질적으로 내용이 미비함은 물론 합기도의 이론을 소홀이 한 채 술기에 대한 기술적 나열이 전부인 것처럼 서술되고, 역사철학적 접근에서 왜곡된 부분이 고정관념화 되어 무비판적으로 인용된 내용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또한 개별단체의 시각에 의한 편협된 주장들이 보편적이면서 포괄적인 사실인양 오도하는 도서나 연구들이 있어왔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해 이 책의 상당부분은 학계의 발표를 거쳐 검정된 내용들로 구성되어 있다는데 특징이 있다. 또한 합기도의 이론과 실제에 대한 균형 있는 접근은 합기도의 역사, 철학, 수행 등 학문화를 이루는데 있어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합기도의 역사성과 발전과정, 철학적 원리와 사상적 맥락, 술기의 이론적 기반을 탐구
이 책의 특징은 첫째, 한국 무도의 역사적 맥락을 기반으로 합기도의 역사성과 발전과정을 탐색함으로써 합기도의 전통수립과 역사적 근원을 파악하려 하였다. 이는 합기도의 모태는 무엇이며, 한국합기도의 태동은 어떠한 과정을 거쳤고, 한국합기도의 발전기는 어떻게 구분하여 전개되었는지를 사실적 근거에 입각하여 정립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둘째, 합기도의 철학적 구성 원리와 사상적 맥락을 탐구함으로써 스포츠와 무도성의 조화, 그리고 정체성을 확립하려고 하였다. 이는 한국합기도의 중추적 기술인 술기 등의 외재적인 형태와 함께 평상심, 최선, 예절, 초심, 끈기, 겸손 등의 내재적 가치를 인식하는 기반이 될 것이다. 셋째, 한국합기도 수행을 대표하는 표본이자 동적인 무도 신체 활동의 핵심적인 기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술기의 이론적 기반을 준비・정리 운동과 더불어 체계화 하였다. 이는 일본 아이기도나 타 무도와의 차별화되는 합기도의 독자적인 기술적 특성을 이론적으로 정립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제1장은 개관, 제2장과 3장은 역사, 제4과 5장은 철학, 제6장과 7장은 수행으로 구성
이 책은 일곱 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은 개관, 제2장과 3장은 역사, 제4장과 5장은 철학, 제6장과 7장은 수행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세부적으로 보면, 제2장 ‘한국무도의 역사적 맥락’은 한국합기도의 역사와 본질의 흐름을 이해하는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삼국⋅고려⋅조선⋅근대의 무도사가 한국합기도의 형성에 전통적 인식의 기반을 이루고 있다는 광의의 의미로서 한국무도사를 규정한다는데 의미가 있다.
제3장 ‘합기도의 역사성과 발전과정’은 합기도의 모체라 할 수 있는 대동류합기유술(大東流合氣柔術)의 근원과 해방 이후 최용술이 국내활동을 시작하고, 그 제자들에 의해 성립⋅발전⋅유지되어 온 한국합기도의 흐름을 태동기, 발전기, 성장기, 전환기 등으로 구분해서 전개하였다. 제4장 ‘한국합기도의 철학적 구성원리’에서는 한국합기도 개념의 철학적 함의, 예 정신, 3대 원리에 내재된 철학적 함의 등을 논하였다. 제5장 ‘한국합기도의 사상적 맥락’에서는 한국합기도가 전통무도의 본질적 요소인 지속성⋅고유성⋅대중성⋅현재성 등에 부합됨과 한국합기도 철학의 주된 키워드라 할 수 있는 한(), 기(氣), 도(道) 사상(思想)에 대해 논하였다.
제6장에서는 한국합기도 수행의 일부라고 할 수 있는 준비운동과 정리운동의 의미에 대해 탐색함으로써 한국합기도 준비⋅정리운동의 형태에 관한 이론을 정립하고 한국합기도 수련 시의 안전과 효율성을 증진시키려 하였다. 제7장은 한국합기도를 지탱하게 하는 근간이자 근원적인 동력이라 할 수 있는 수행의 실제로서 유사단체의 난립 속에서 한국합기도의 기술적 체계를 밝히고자 술기의 종류와 형태에 관한 의미를 심도 있게 접근하였다. 술기의 체계적인 이론정립과 단전호흡, 겨루기, 격파, 활법 등 한국합기도만의 독자적인 기술적 특성을 확립하려 하였다.
부록에서는 합기도 관련 국내학위논문, 합기도 관련 국내학회지 게재논문, 합기도 관련 국내단체, 합기도⋅무도⋅호신술의 수업계획서, 수강생의 합기도 승단심사 채점표 등을 첨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