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펴내면서
1부 민족지적 조사·연구와 이론적 배경, 청도 개관
1장 서장: 민족지적 조사·연구와 책의 구성
2장 사회적 공간의 개념과 공간성: 사회 행위자들의 역사적 실천과 공간적 관계의 구성
3장 청도: 공간의 지역화
2부 종족의 상징적 자본과 ‘양반다움’의 문화정치
4장 명망의 문화정치: 종족의 상징적 자본과 종가의 사회적 위상
5장 사회공간적 범주화와 ‘양반다움’의 문화 정치적 구성
3부 혼인 관계와 친구 관계의 공간적 구성
6장 통혼권의 공간동학적 의미: 신촌리 사례
7장 청도 양반의 혼인전략: 신촌리 사례
8장 친구 관계와 문화적 취향: 신지리 사례
4부 지역 엘리트로서의 자리매김 하기와 유교 문화경관
9장 ‘명조’의 표상 구축과 종족 분파, 그리고 문화 정치적 실천: 신지리 참의공파의 사례
10장 경합적 유교 문화경관: 서원·재실·정자를 중심으로
5부 지명의 사회공간적 의미
11장 양반 종족촌락의 지명에 나타난 사회적 공간의 위계와 구별짓기: 신촌리 사례
12장 지명의 정치학: 청도김씨 종족집단과 ‘청도면’ 지명 명명 사례
6부 사회적 실천윤리와 의례 수행 공간
13장 전통과 사회적 실천윤리: 신지리 박재형의 『해동속소학』에 관한 언설 분석
14장 재현된 유림장과 묘지의 사회공간적 구성: 신촌리 사례
7부 종합고찰
15장 선택적 역사 실천과 재구성된 사회적 공간
16장 결론
Abstract
참고문헌
용어 찾아보기
인명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