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예술

한국 음악의 이해

지은이손태룡

출판일2007-05-20

쪽 수448면

판 형신국판

I S B N978-89-7581-319-1 93670

판매가25,000원

책소개

-기존의 개론서에서 나타난 단점들을 극복하고, 전통음악의 기초이론에 대한 체계적인 서술-
기존의 한국의 전통음악 관련 개론서들은 음악용어·이론내용·악곡내용·악기내용 등에서 모두가 통일된 내용을 담고 있지 않았다. 어떤 책은 너무 간략해서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어려웠고, 어떤 책은 너무 방대하고 직접적으로 불필요한 내용들이 많아 한국음악의 총체적인 모습과 주요한 사항들을 파악하기에 용이하지 못한 것이 단점이 있었다. 더구나 서로의 이론적인 내용이 같지 않아 모순이 되거나 틀린 내용들이 있는 경우도 있었다. 이 책에서는 이러한 단점들을 극복하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나아가 새롭게 연구되었거나 조사된 내용들까지 포함함으로써 일반인들이 전통음악의 기초이론을 폭넓게 이해하도록 하였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때문에 아직까지 완벽하게 정립되어 있지 않은 우리나라 전통음악의 기초이론 내용을 다지는데 일조할 것이다.
-많은 악곡도표와 악보, 국악기의 내용 및 사진자료를 자세하게 수록-
이 책이 다른 일반 한국음악 개론서보다 충실히 다루었던 특징적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이론 및 악곡의 많은 도표와 악보, 국악기의 내용 및 사진자료를 실어서 독자들의 이해를 돕고 있으며, 반드시 알아야 하는 내용들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둘째, <기초이론편>에서는 성聲·음音·악樂의 본질을 『예기』禮記를 통해 살펴보았으며, 아울러 12율려와 율정律程의 바른 이해를 꾀했다. 특히 피타고라스율의 내용을 소개하여 삼분손익법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였다. 셋째 <악곡편>에서는 각 장르별로 곡을 소개하여 한국음악의 이해에 힘썼다. 그리고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사용되었던 국악기 총 82종 전체를 다루었다

 

차례

제1편 기초이론
Ⅰ. 성聲·음音·악樂의 정의
1. 성聲의 정의
2. 음音의 정의
3. 음의 종류六感
4. 음의 성질三性
5. 악樂의 정의
6. 표준기음(標準基音 : 황종의 높이)
Ⅱ. 12율려와 음률 산정방법
1. 율명(律名 : 음이름)
2. 청성淸聲과 배성倍聲
3. 음률산정법
4. 피타고라스율
5. 피타고라스음계와 순정조
Ⅲ. 조調·선법旋法·음계音階의 내용
1. 60조 이론
2. 중국의 5조
3. 평조선법과 계면조선법
4. 전통음악의 음계
Ⅳ. 기보법과 고악보의 종류
1. 기보법
2. 고악보
Ⅴ. 악상기호와 나타냄말
1. 고악보에 나타난 부호
2. 꾸밈음과 연주표
3. 풍도風度와 곡세曲勢 / 나타냄말
Ⅵ. 장단과 악곡 구성
1. 장단
2. 전통음악의 형식 및 종지형
제2편 악곡
Ⅰ. 아악雅樂
1. 제례악
2. 연례악
3. 정재무呈才舞
4. 군례악軍禮樂
5. 정악正樂과 정가正歌
Ⅱ. 속악俗樂
1. 신앙악
2. 민속악
제3편 국악기
Ⅰ. 국악기의 분류방법
1. 음악의 계통에 의한 분류법
2. 악기재료에 의한 분류법
3. 연주법에 의한 분류법
Ⅱ. 관악기
1. 금 : 대금 중금 소금
2. 당적唐笛
3. 지
4. 소관자小管子
5. 약줆
6. 적

 

책속으로

『예기』禮記의 악기樂記편에 의하면,1 “무릇 음이 일어나는 이유는 사람의 마음에서 생기는 것이다. 인간의 마음이 생기는 것은 어떠한 연유에서 비롯된다. 느낌은 외부 자극의 움직임에 의한 것이므로, 그 움직임을 소리라 한다”라고 하였다. 이렇듯, 음의 생성은 사람의 감각현상, 곧 정신적으로 정의하였다. 한편 서양음악에서는 음의 정의를 물체의 진동이라는 물리적 현상으로 규명하고 있어, 한국음악에 있어서 음의 정의와는 근본적으로 완전히 다르다.
음에는 세가지 성질이 있는데, 그것은 ① 고저高低 : 높고 낮음, ② 완급緩急 : 느리고 빠름, ③ 청탁淸濁 : 맑고 흐림이다. 특히 청탁은 한국음악에서 높낮이를 뜻하기도 한다.
한편 한국음악에서는 맑고 깨끗한 소리만 추구하지 않고 인간이 쾌감을 느끼는 소리로 주로 시끄러운 소리(j音)가 70% 이상 차지한다. 소음에 속하는 음을 구사驅使하는 여러 곳, 예컨대 판소리에 있어서 발성, 악기의 활(弓) 대신에 막대기(개나리나무 : 속이 비워 있어 공명효과를 가져옴)를 쓰는 아쟁牙箏, 청공淸孔을 뚫어 갈대청을 붙여 따르르 떨도록 장치된 젓대大 등이 그 보기라 하겠다

 

저자소개

손태룡은 영남대학교 문리과대학을 비롯하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과 영남대학교 음악대학원을 졸업하였으며, 경북대 대구예술대 신일대 안동대 영남대 및 대학원에 출강하였다. 그리고 <대구의 문화인물2> <대구근대문학예술사> <예총30년사>의 집필위원으로 활동하였다. 현재는 한국음악사학회 편집고문과 대구향토문화연구소 연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 서-
『한국음악의 이해』. 경산:영남대학교출판부, 2007.
『사진으로 읽은 음악사』. 경산:영남대학교출판부, 2006.
『음악이란 무엇인가』. 경산:영남대학교출판부, 2006.
『한국의 음악가』. 경산:영남대학교출판부, 2003.
『한국의 전통악기』. 경산:영남대학교출판부, 2003.
『每日新聞音樂記事索引』. 경산:영남대학교출판부, 2002.
『韓國音樂論筌』. 경산:영남대학교출판부, 2002.
『每日申報音樂記事總索引:1910.8.30-1945.8.15』. 서울:민속원, 2001.
『대구음악사』. 대구:대구광역시남구대덕문화원, 2000.
『증보판 한국음악개론』. 서울:민속원, 2000.
『嶺南音樂史硏究』. 서울:민속원, 1999.
『嶺南日報音樂記事集』. 대구:도서출판 대일, 1997.
『한국음악개론』. 서울:동진음악출판사, 1996.
『大邱洋樂史硏究』. 대구:도서출판 대일, 1996.
『한국음악사의 큰별』. 대구:중문출판사, 1994.
『한국음악의 인식과 비평』. 대구:중문출판사, 1993 ; 증보판(1995).
『樂隊硏究論』. 대구:도서출판 대일, 1991.
『大邱每日新聞 音樂記事集』. 대구:도서출판 大一, 1990.
『모짜르트의 삶과 예술』. 대구:흐름사, 1989 ; 증보판(以文出版社, 1991).

 

서평

책소개

-기존의 개론서에서 나타난 단점들을 극복하고, 전통음악의 기초이론에 대한 체계적인 서술-
기존의 한국의 전통음악 관련 개론서들은 음악용어·이론내용·악곡내용·악기내용 등에서 모두가 통일된 내용을 담고 있지 않았다. 어떤 책은 너무 간략해서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어려웠고, 어떤 책은 너무 방대하고 직접적으로 불필요한 내용들이 많아 한국음악의 총체적인 모습과 주요한 사항들을 파악하기에 용이하지 못한 것이 단점이 있었다. 더구나 서로의 이론적인 내용이 같지 않아 모순이 되거나 틀린 내용들이 있는 경우도 있었다. 이 책에서는 이러한 단점들을 극복하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나아가 새롭게 연구되었거나 조사된 내용들까지 포함함으로써 일반인들이 전통음악의 기초이론을 폭넓게 이해하도록 하였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때문에 아직까지 완벽하게 정립되어 있지 않은 우리나라 전통음악의 기초이론 내용을 다지는데 일조할 것이다.
-많은 악곡도표와 악보, 국악기의 내용 및 사진자료를 자세하게 수록-
이 책이 다른 일반 한국음악 개론서보다 충실히 다루었던 특징적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이론 및 악곡의 많은 도표와 악보, 국악기의 내용 및 사진자료를 실어서 독자들의 이해를 돕고 있으며, 반드시 알아야 하는 내용들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둘째, <기초이론편>에서는 성聲·음音·악樂의 본질을 『예기』禮記를 통해 살펴보았으며, 아울러 12율려와 율정律程의 바른 이해를 꾀했다. 특히 피타고라스율의 내용을 소개하여 삼분손익법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였다. 셋째 <악곡편>에서는 각 장르별로 곡을 소개하여 한국음악의 이해에 힘썼다. 그리고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사용되었던 국악기 총 82종 전체를 다루었다

 

차례

제1편 기초이론
Ⅰ. 성聲·음音·악樂의 정의
1. 성聲의 정의
2. 음音의 정의
3. 음의 종류六感
4. 음의 성질三性
5. 악樂의 정의
6. 표준기음(標準基音 : 황종의 높이)
Ⅱ. 12율려와 음률 산정방법
1. 율명(律名 : 음이름)
2. 청성淸聲과 배성倍聲
3. 음률산정법
4. 피타고라스율
5. 피타고라스음계와 순정조
Ⅲ. 조調·선법旋法·음계音階의 내용
1. 60조 이론
2. 중국의 5조
3. 평조선법과 계면조선법
4. 전통음악의 음계
Ⅳ. 기보법과 고악보의 종류
1. 기보법
2. 고악보
Ⅴ. 악상기호와 나타냄말
1. 고악보에 나타난 부호
2. 꾸밈음과 연주표
3. 풍도風度와 곡세曲勢 / 나타냄말
Ⅵ. 장단과 악곡 구성
1. 장단
2. 전통음악의 형식 및 종지형
제2편 악곡
Ⅰ. 아악雅樂
1. 제례악
2. 연례악
3. 정재무呈才舞
4. 군례악軍禮樂
5. 정악正樂과 정가正歌
Ⅱ. 속악俗樂
1. 신앙악
2. 민속악
제3편 국악기
Ⅰ. 국악기의 분류방법
1. 음악의 계통에 의한 분류법
2. 악기재료에 의한 분류법
3. 연주법에 의한 분류법
Ⅱ. 관악기
1. 금 : 대금 중금 소금
2. 당적唐笛
3. 지
4. 소관자小管子
5. 약줆
6. 적

 

책속으로

『예기』禮記의 악기樂記편에 의하면,1 “무릇 음이 일어나는 이유는 사람의 마음에서 생기는 것이다. 인간의 마음이 생기는 것은 어떠한 연유에서 비롯된다. 느낌은 외부 자극의 움직임에 의한 것이므로, 그 움직임을 소리라 한다”라고 하였다. 이렇듯, 음의 생성은 사람의 감각현상, 곧 정신적으로 정의하였다. 한편 서양음악에서는 음의 정의를 물체의 진동이라는 물리적 현상으로 규명하고 있어, 한국음악에 있어서 음의 정의와는 근본적으로 완전히 다르다.
음에는 세가지 성질이 있는데, 그것은 ① 고저高低 : 높고 낮음, ② 완급緩急 : 느리고 빠름, ③ 청탁淸濁 : 맑고 흐림이다. 특히 청탁은 한국음악에서 높낮이를 뜻하기도 한다.
한편 한국음악에서는 맑고 깨끗한 소리만 추구하지 않고 인간이 쾌감을 느끼는 소리로 주로 시끄러운 소리(j音)가 70% 이상 차지한다. 소음에 속하는 음을 구사驅使하는 여러 곳, 예컨대 판소리에 있어서 발성, 악기의 활(弓) 대신에 막대기(개나리나무 : 속이 비워 있어 공명효과를 가져옴)를 쓰는 아쟁牙箏, 청공淸孔을 뚫어 갈대청을 붙여 따르르 떨도록 장치된 젓대大 등이 그 보기라 하겠다

 

저자소개

손태룡은 영남대학교 문리과대학을 비롯하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과 영남대학교 음악대학원을 졸업하였으며, 경북대 대구예술대 신일대 안동대 영남대 및 대학원에 출강하였다. 그리고 <대구의 문화인물2> <대구근대문학예술사> <예총30년사>의 집필위원으로 활동하였다. 현재는 한국음악사학회 편집고문과 대구향토문화연구소 연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 서-
『한국음악의 이해』. 경산:영남대학교출판부, 2007.
『사진으로 읽은 음악사』. 경산:영남대학교출판부, 2006.
『음악이란 무엇인가』. 경산:영남대학교출판부, 2006.
『한국의 음악가』. 경산:영남대학교출판부, 2003.
『한국의 전통악기』. 경산:영남대학교출판부, 2003.
『每日新聞音樂記事索引』. 경산:영남대학교출판부, 2002.
『韓國音樂論筌』. 경산:영남대학교출판부, 2002.
『每日申報音樂記事總索引:1910.8.30-1945.8.15』. 서울:민속원, 2001.
『대구음악사』. 대구:대구광역시남구대덕문화원, 2000.
『증보판 한국음악개론』. 서울:민속원, 2000.
『嶺南音樂史硏究』. 서울:민속원, 1999.
『嶺南日報音樂記事集』. 대구:도서출판 대일, 1997.
『한국음악개론』. 서울:동진음악출판사, 1996.
『大邱洋樂史硏究』. 대구:도서출판 대일, 1996.
『한국음악사의 큰별』. 대구:중문출판사, 1994.
『한국음악의 인식과 비평』. 대구:중문출판사, 1993 ; 증보판(1995).
『樂隊硏究論』. 대구:도서출판 대일, 1991.
『大邱每日新聞 音樂記事集』. 대구:도서출판 大一, 1990.
『모짜르트의 삶과 예술』. 대구:흐름사, 1989 ; 증보판(以文出版社, 1991).

 

서평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