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사회

녹색성장과 지역경영

지은이이성근 외

쪽 수473

판 형크라운판

I S B N 978-89-7581-418-1

판매가25,000원

구매수량

책소개

- 저탄소 녹색성장 패러다임의 변화가 우리 사회의 전 분야에 미치는 영향과 적극적 수용을 통한 활용방안들을 다각도로 검토 -
녹색성장은 환경과 경제의 조화로운 성장을 의미하며, 지구환경변화 특히 지구온난화에 대한 범지국적 대응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그동안 선진국들은 고탄소를 이용한 자원효율성 성장국가들이었기 때문에 녹색성장은 전 세계적으로 아직 실현된 적이 없는 성장모델이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저자들은 이 책을 통해 세계적·국가적 차원의 저탄소 녹색성장 패러다임의 변화가 우리사회의 전 분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어떻게 국가와 지역 차원에서 이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능동적으로 국가와 지역발전의 새로운 기제로 활용해야 하는지를 다각도로 검토하였다.

- 녹색 성장전략으로서의 녹색산업, 녹색인프라, 녹색생할에 대한 이론과 실천들을 통합적 접근방법으로 정리 -
녹색성장을 위해서는 기본토대가 되는 이론에 대한 체계화와 분야별 녹색성장 전략, 프로그램의 개발과 이해, 그리고 이를 실천할 수 있는 경제주체들의 역할을 정립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특정한 분야만 다룬 기존의 출판물과는 달리, 관련된 모든 이론과 프로그램들을 다양하게 통합적인 관점에서 다루고 있는 것이 이 책의 장점이다.
또한 저탄소 녹색성장은 글로벌 차원, 국가적 차원, 지방적 차원에서 통합적으로 접근되어야 하고, 학문분야도 정치·행정, 경제·경영, 사회·문화, 토목·건축, 도시·환경 등 학제적 접근이어야 하며, 실천주체도 개인, 가정, 기업, 단체, 정부부문이 함께 참여하고 협력하는 거버넌스 형태의 추진체계가 필요하다는 점을 저자들은 역설하고 있다. 이에 따라 그 접근방법으로 녹색 성장전략으로서의 녹색산업, 녹색인프라, 녹색생할에 대한 이론과 실천들을 체계적 정리하였고, 녹색성장실천을 위해 글로벌 국가와 지방 차원의 녹색 거버넌스 관련 이론들을 함께 검토하고 있다.

- 국내외의 다양한 녹색운동 실천사례 제시로, 이론과 실천의 발전과정을 보여줌.-
이 책은 저탄소 녹색성장의 지방적 실천을 목표로 통합적, 학제적, 거버넌스적 접근을 통해 저탄소 녹색성장의 이론과 정책, 그리고 그 실천적 내용들을 담고 있다. 저자들은 지구환경변화, 지구온난화와 국제사회의 협력과 대응, 녹색산업, 녹색공간, 순환형 자원시스템, 녹색인프라, 녹색생활의 사회적 실천 등 일곱 가지를 주요 개념을 설정하여 접근하였다. 또한 각 단원별로 국내외의 다양한 녹색운동 실천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이론을 통한 실천, 실천을 통해 이론이 어떻게 전개$발전되어 지고 있는지 엿볼 수 있다.

제1편 지구환경변화와 저탄소 녹색성장에서는 저탄소 녹색성장사회, 지구환경의 변화, 기후변화와 지구온난화, 제2편 지구온난화와 국제사회의 협력과 대응에서는 지구온난화와 국제협약, 지구온난화와 주요국가의 대응, 지구온난화와 한국의 대응, 제3편 저탄소 녹색산업의 성
장과 관리에서는 녹색산업, 녹색기술, 녹색농업, 녹색식품, 녹색관광, 제4편 저탄소 녹색공간의 체계적 관리에서는 녹색국토, 녹색도시, 녹색건축, 녹색농촌, 제5편 순환형 자원시스템의 구축에서는 수자원, 녹색산림, 청정해양, 녹색에너지, 도시광산, 제6편 녹색인프라의 구축과 관리에서는 녹색교통, 녹색산업단지, 생태하천, 녹색정보, 제7편 저탄소 녹색생활의 사회적 실천에서는 녹색기업, 녹색생활, 녹색NGO, 녹색거버넌스, 녹색교육을 다루었다.

 

차례

제1편 지구환경변화와 저탄소 녹색성장
제1장 저탄소 녹색성장사회의 이해
제2장 지구환경의 변화
제3장 기후변화와 지구온난화
제2편 지구온난화와 국제사회의 협력과 대응
제1장 지구온난화와 국제협약
제2장 지구온난화와 주요국가의 대응
제3장 지구온난화와 한국의 대응
제3편 저탄소 녹색산업의 성장과 관리
제1장 녹색산업
제2장 녹색기술
제3장 녹색농업
제4장 녹색식품
제5장 녹색관광
제4편 저탄소 녹색공간의 체계적 관리
제1장 녹색국토
제2장 녹색도시
제3장 녹색건축
제4장 녹색농촌
제5편 순환형 자원시스템의 구축
제1장 수자원
제2장 녹색산림
제3장 청정해양
제4장 녹색에너지
제5장 도시광산
제6편 녹색인프라의 구축과 관리
제1장 녹색교통
제2장 녹색산업단지
제3장 생태하천
제4장 녹색정보
제7편 저탄소 녹색생활의 사회적 실천
제1장 녹색기업
제2장 녹색생활
제3장 녹색NGO
제4장 녹색거버넌스
제5장 녹색교육

 

책속으로

그간 선진국들은 고탄소 이용의 자원효율성 성장국가들로 녹색성장은 전 세계적으로 아직 실현된 적이 없는 성장모델입니다. 따라서 녹색성장은 위기를 도약의 기회로 전환하는 새로운 발전 패러다임을 의미합니다. 이와 같은 세계적국가적 차원의 저탄소 녹색성장 패러다임의 변화는 우리사회의 전분야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되고, 국가지역 차원에서 이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능동적으로 국가지역발전의 새로운 기제로 활용해야 할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녹색성장에 대한 이론적 체계화와 분야별 녹색성장 전략 및 프로그램의 개발과 이해, 그리고 이를 실천할 수 있는 경제주체들의 역할을 정립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저자소개

이 성 근
서울대학교 대학원 도시 및 지역계획전공(행정학박사)
영남대학교 행정대학원장/정치행정대학 지역 및 복지행정학과
주요저서 최신지역경제론 외 다수
대통령소속 지방행정체제개편위원회 위원 기능분과위원장(현)
현재 영남대학교 지역 및 복지행정학과 교수/한국균형발전연구소장

이 관 률
영남대학교 대학원 지역개발학과 졸업
행정학박사
충남발전연구원 책임연구원

서 경 규
영남대학교 대학원 지역개발학과 졸업
행정학박사
대구가톨릭대학교 경제금융부동산학과 교수

김 상 곤
영남대학교 대학원 지역개발학과 졸업
행정학박사
경북테크노파크 정책기획팀장

안 성 조
영남대학교 대학원 지역개발학과 졸업
행정학박사
경북테크노파크 연구원

김 태 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지역개발학과 졸업
행정학박사
한국농어촌공사 과장

김 종 수
영남대학교 대학원 지역개발학과
박사과정 수료
제일감정평가법인 이사

박 성 환
영남대학교 대학원 지역 및 복지행정학과
박사과정 수료
행정안전부 지방행정연수원 기획지원부장

심 상 운
영남대학교 대학원 지역 및 복지행정학과
박사과정 재학
한국토지주택공사 차장

 

서평

책소개

- 저탄소 녹색성장 패러다임의 변화가 우리 사회의 전 분야에 미치는 영향과 적극적 수용을 통한 활용방안들을 다각도로 검토 -
녹색성장은 환경과 경제의 조화로운 성장을 의미하며, 지구환경변화 특히 지구온난화에 대한 범지국적 대응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그동안 선진국들은 고탄소를 이용한 자원효율성 성장국가들이었기 때문에 녹색성장은 전 세계적으로 아직 실현된 적이 없는 성장모델이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저자들은 이 책을 통해 세계적·국가적 차원의 저탄소 녹색성장 패러다임의 변화가 우리사회의 전 분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어떻게 국가와 지역 차원에서 이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능동적으로 국가와 지역발전의 새로운 기제로 활용해야 하는지를 다각도로 검토하였다.

- 녹색 성장전략으로서의 녹색산업, 녹색인프라, 녹색생할에 대한 이론과 실천들을 통합적 접근방법으로 정리 -
녹색성장을 위해서는 기본토대가 되는 이론에 대한 체계화와 분야별 녹색성장 전략, 프로그램의 개발과 이해, 그리고 이를 실천할 수 있는 경제주체들의 역할을 정립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특정한 분야만 다룬 기존의 출판물과는 달리, 관련된 모든 이론과 프로그램들을 다양하게 통합적인 관점에서 다루고 있는 것이 이 책의 장점이다.
또한 저탄소 녹색성장은 글로벌 차원, 국가적 차원, 지방적 차원에서 통합적으로 접근되어야 하고, 학문분야도 정치·행정, 경제·경영, 사회·문화, 토목·건축, 도시·환경 등 학제적 접근이어야 하며, 실천주체도 개인, 가정, 기업, 단체, 정부부문이 함께 참여하고 협력하는 거버넌스 형태의 추진체계가 필요하다는 점을 저자들은 역설하고 있다. 이에 따라 그 접근방법으로 녹색 성장전략으로서의 녹색산업, 녹색인프라, 녹색생할에 대한 이론과 실천들을 체계적 정리하였고, 녹색성장실천을 위해 글로벌 국가와 지방 차원의 녹색 거버넌스 관련 이론들을 함께 검토하고 있다.

- 국내외의 다양한 녹색운동 실천사례 제시로, 이론과 실천의 발전과정을 보여줌.-
이 책은 저탄소 녹색성장의 지방적 실천을 목표로 통합적, 학제적, 거버넌스적 접근을 통해 저탄소 녹색성장의 이론과 정책, 그리고 그 실천적 내용들을 담고 있다. 저자들은 지구환경변화, 지구온난화와 국제사회의 협력과 대응, 녹색산업, 녹색공간, 순환형 자원시스템, 녹색인프라, 녹색생활의 사회적 실천 등 일곱 가지를 주요 개념을 설정하여 접근하였다. 또한 각 단원별로 국내외의 다양한 녹색운동 실천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이론을 통한 실천, 실천을 통해 이론이 어떻게 전개$발전되어 지고 있는지 엿볼 수 있다.

제1편 지구환경변화와 저탄소 녹색성장에서는 저탄소 녹색성장사회, 지구환경의 변화, 기후변화와 지구온난화, 제2편 지구온난화와 국제사회의 협력과 대응에서는 지구온난화와 국제협약, 지구온난화와 주요국가의 대응, 지구온난화와 한국의 대응, 제3편 저탄소 녹색산업의 성
장과 관리에서는 녹색산업, 녹색기술, 녹색농업, 녹색식품, 녹색관광, 제4편 저탄소 녹색공간의 체계적 관리에서는 녹색국토, 녹색도시, 녹색건축, 녹색농촌, 제5편 순환형 자원시스템의 구축에서는 수자원, 녹색산림, 청정해양, 녹색에너지, 도시광산, 제6편 녹색인프라의 구축과 관리에서는 녹색교통, 녹색산업단지, 생태하천, 녹색정보, 제7편 저탄소 녹색생활의 사회적 실천에서는 녹색기업, 녹색생활, 녹색NGO, 녹색거버넌스, 녹색교육을 다루었다.

 

차례

제1편 지구환경변화와 저탄소 녹색성장
제1장 저탄소 녹색성장사회의 이해
제2장 지구환경의 변화
제3장 기후변화와 지구온난화
제2편 지구온난화와 국제사회의 협력과 대응
제1장 지구온난화와 국제협약
제2장 지구온난화와 주요국가의 대응
제3장 지구온난화와 한국의 대응
제3편 저탄소 녹색산업의 성장과 관리
제1장 녹색산업
제2장 녹색기술
제3장 녹색농업
제4장 녹색식품
제5장 녹색관광
제4편 저탄소 녹색공간의 체계적 관리
제1장 녹색국토
제2장 녹색도시
제3장 녹색건축
제4장 녹색농촌
제5편 순환형 자원시스템의 구축
제1장 수자원
제2장 녹색산림
제3장 청정해양
제4장 녹색에너지
제5장 도시광산
제6편 녹색인프라의 구축과 관리
제1장 녹색교통
제2장 녹색산업단지
제3장 생태하천
제4장 녹색정보
제7편 저탄소 녹색생활의 사회적 실천
제1장 녹색기업
제2장 녹색생활
제3장 녹색NGO
제4장 녹색거버넌스
제5장 녹색교육

 

책속으로

그간 선진국들은 고탄소 이용의 자원효율성 성장국가들로 녹색성장은 전 세계적으로 아직 실현된 적이 없는 성장모델입니다. 따라서 녹색성장은 위기를 도약의 기회로 전환하는 새로운 발전 패러다임을 의미합니다. 이와 같은 세계적국가적 차원의 저탄소 녹색성장 패러다임의 변화는 우리사회의 전분야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되고, 국가지역 차원에서 이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능동적으로 국가지역발전의 새로운 기제로 활용해야 할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녹색성장에 대한 이론적 체계화와 분야별 녹색성장 전략 및 프로그램의 개발과 이해, 그리고 이를 실천할 수 있는 경제주체들의 역할을 정립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저자소개

이 성 근
서울대학교 대학원 도시 및 지역계획전공(행정학박사)
영남대학교 행정대학원장/정치행정대학 지역 및 복지행정학과
주요저서 최신지역경제론 외 다수
대통령소속 지방행정체제개편위원회 위원 기능분과위원장(현)
현재 영남대학교 지역 및 복지행정학과 교수/한국균형발전연구소장

이 관 률
영남대학교 대학원 지역개발학과 졸업
행정학박사
충남발전연구원 책임연구원

서 경 규
영남대학교 대학원 지역개발학과 졸업
행정학박사
대구가톨릭대학교 경제금융부동산학과 교수

김 상 곤
영남대학교 대학원 지역개발학과 졸업
행정학박사
경북테크노파크 정책기획팀장

안 성 조
영남대학교 대학원 지역개발학과 졸업
행정학박사
경북테크노파크 연구원

김 태 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지역개발학과 졸업
행정학박사
한국농어촌공사 과장

김 종 수
영남대학교 대학원 지역개발학과
박사과정 수료
제일감정평가법인 이사

박 성 환
영남대학교 대학원 지역 및 복지행정학과
박사과정 수료
행정안전부 지방행정연수원 기획지원부장

심 상 운
영남대학교 대학원 지역 및 복지행정학과
박사과정 재학
한국토지주택공사 차장

 

서평

TOP